서비스 개요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해서는 설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벤트 발생에 따른 설비제어가 가능해야 합니다.
미라콤아이앤씨는 설비개조 및 설비 I/F를 통한 설비 온라인화로 고객의 제조 현장을 데이터가 흐르는 자동화된 환경으로 전환합니다.
- MOM(Highway101)
- MES
- EES
- YMS
- QMS
- 설비 I/F (MC)
- SECS/GEM
- FILE/TCP
- OPC
- 설비개조
- 생산/물류 설비와 상위 시스템간 데이터 인터페이스
- 설비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를 OPC 또는 SECS와 같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로 상위 시스템에서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하여 송수신합니다.
- 센서, 카운터 등의 하드웨어를 설비에 적용하여 필요 데이터 추출 (압력, 온도, 전류, 유량, 중량 등)
- 실사를 통해 상위 시스템에서 필요한 정보의 추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설비로부터 데이터 수집을 위한 HW, SW적 조치를 수행합니다. 제어기를 통해 설비 데이터 수집 가능 환경을 구축하며, OPC UA서버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 *OPC UA : Open Platform Communications Unified Architecture
- * EES : Equipment Engineering System
- * YMS : Yield Management System
- * SECS/GEM : SEMI Equipment Communications Standard / The Generic Model for Communications and Control of Manufacturing Equipment
- MOM(Highway101)
- MES
- EES
- YMS
- QMS
- 설비 I/F (MC)
- SECS/GEM
- FILE/TCP
- OPC
- 설비개조
-
-
생산/물류 설비와 상위 시스템간
데이터 인터페이스 - 설비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를 OPC 또는 SECS와 같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로 상위 시스템에서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하여 송수신합니다.
-
생산/물류 설비와 상위 시스템간
-
-
센서, 카운터 등의 하드웨어를 설비에
적용하여 필요 데이터 추출
(압력, 온도, 전류, 유량, 중량 등) - 실사를 통해 상위 시스템에서 필요한 정보의 추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설비로부터 데이터 수집을 위한 HW, SW적 조치를 수행합니다. 제어기를 통해 설비 데이터 수집 가능 환경을 구축하며, OPC UA서버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 OPC UA : Open Platform Communications Unified Architecture
* EES : Equipment Engineering System
* YMS : Yield Management System
* SECS/GEM : SEMI Equipment Communications Standard / The Generic Model for Communications and Control of Manufacturing Equipment -
센서, 카운터 등의 하드웨어를 설비에
고객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손쉽게 설비 데이터를 취합, 연계, 활용하기 위해 「엣지 디자이스를 통한 클라우드 설비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MQTT Broker
- 관제시스템
- 클라우드 MES
- 엣지 디바이스
- MQTT Client
- SCADA
- DB
- OPC UA
- 생산/물류 설비와 상위 시스템간 데이터 인터페이스
-
설비 및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위 시스템에서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송수신합니다.
* 엣지 디바이스란? 데이터와 가까운 위치에서 데이터를 수집/저장하고 1차 가공하여 상위 시스템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데이터 수집/가공/저장 SW 일체형 디바이스)
- * MQTT : 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ISO 표준 ISO/IEC PRF 20922) '16년 국제 표준화 된 Publish-Subscribe 기반의 M2M, IOT를 위한 메시지 송수신 프로토콜
- MQTT Broker
- 관제시스템
- 클라우드 MES
- 엣지 디바이스
- MQTT Client
- SCADA
- DB
- OPC UA
-
- 생산/물류 설비와 상위 시스템간
데이터 인터페이스 -
설비 및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위 시스템에서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송수신합니다.
* 엣지 디바이스란?
데이터와 가까운 위치에서 데이터를 수집/저장하고 1차 가공하여 상위 시스템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데이터 수집/가공/저장 SW 일체형 디바이스)
* MQTT : 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ISO 표준 ISO/IEC PRF 20922) '16년 국제 표준화 된 Publish-Subscribe 기반의 M2M, IOT를 위한 메시지 송수신 프로토콜
- 생산/물류 설비와 상위 시스템간
태양광 글로벌 고객사는 글로벌 공장을 확산하면서 통합 관제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
다중 사용자의 원격관리가 용이한 체계 마련이 필요하였습니다. 효과적 시스템 도입을
위해 하이테크 BP 사례를 이식한 자동화 통합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다중 FAB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과 설비 모델별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한 실시간 설비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여 국내외 공장을 통합 관제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문제 발생시 국내 전문가의 원격 대응이 가능해졌고,
관리 비용을 절반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전자제품 제조기업인 고객사는 생산 데이터를 활용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설비 자동화와 제조 지능화 기능을 추가하여 기 구축한 MES의 고도화를 진행하였습니다. 원자재 출하 정보 및 설비 데이터 분석 체계를 갖추고, ERP와 연계한 통합 운전 체계를 구축하고 가시화된 실시간 모니터링 리포트 기능을 적용하였습니다.이를 통해 이상 발생 시 대응 시간이 기존 대비 50% 단축되었고, 설비 가동률이 10% 향상된 성과를 얻었습니다.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전문 기업인 고객사는 반도체 후공정 전체 공정에 미라콤의 설비자동화(MC)솔루션을 적용하여 SEMI 협회에서 제정한 표준에 근거하여 장비 인터페이스와 자동화를 구현하였습니다. 또 BOM, Lot Tracking 등 호스트 시스템과도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신뢰성 있는 설비 정보를 기반으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었습니다.
세계에서 세 번째로 공업용 합성다이아몬드 개발에 성공한 고객사는 해외 공장에 MES 확산 사업을 추진하면서 미라콤의 MES와 설비자동화(MC)솔루션을 적용하였습니다. 고객사는 설비 자동화를 통해 수작업으로 인한 비효율성을 줄이고, 공장간 추적이 가능한 체계를 구현하여 생산 품질과 효율을 개선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국내 공장과 해외 공장에 통합 대시보드를 구성하여 실시간 설비 가동 현황 분석이 가능해져 제조 현장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